IT 일반
“3명 중 1명은 사용”...생성형 AI 이용자 1년 사이 2배 증가 [이슈+]
- 과기정통부, ‘2024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발표
지난해부터 여러 분야에서 AI 서비스 활용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경제 확산에 따른 국민의 인터넷 활용 변화를 담은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2만5509가구 및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AI 서비스를 경험한 국민 비율은 2021년 32.4%에서 2024년 60.3%로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주행과 같은 교통 분야에서 AI의 도움에 대한 만족도가 98.3%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생성형 AI(ChatGPT 등)에 대한 관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자는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용 분야는 ▲정보 검색(81.9%) ▲문서 작성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활동(15.2%) ▲코딩(6.3%)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디지털 소비 방식도 급변하고 있다. 정기 구독을 통해 콘텐츠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지난해 13.1%에서 올해 49.4%로 크게 늘었으며, 10~30대가 이러한 소비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 증가폭은 10대 43.6%p, 20대 40%p, 30대 37%p로 나타났다.
해외 직접구매(직구)도 증가세다. 글로벌 쇼핑 플랫폼의 국내 진출 영향으로,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경험률은 전년 20%에서 올해 34.3%로 뛰었다. 특히 30대(47.2%)와 20대(43.5%)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 중이며, 두 연령층 모두 전년 대비 약 18~19%p 상승했다.
전국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99.97%로 전년과 동일했으며, 만 3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은 0.5%p 오른 94.5%로 집계됐다.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율은 90.5%, 주 평균 이용 시간은 20.5시간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97.5%)가 가장 높고, 강원(88.9%)이 가장 낮았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인공지능은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닌, 국민 생활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며 “AI의 윤리적 활용과 국민 이용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정보
당신이 좋아할 만한 정보
AD
추천
"허리통증" 심각환자.."이것" 하자마자..바로..충격!추천
79세 김용건 "고혈당, 당뇨" 예방하는 1%의 비밀!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AD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FTA체결 韓 25% 상호관세 부과…EU·일본보다 높다(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전한길, '폭속' 특별출연했으나 통편집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FTA체결 韓 25% 상호관세 부과…EU·일본보다 높다(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1500만 반려동물 시대, GS리테일 펫사업은 고전…정리하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알테오젠 닮았다는 펩트론, 시총20조 돌파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