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정책

정책

[속보] 바이든, 한미일 정상회의 제의… 윤 대통령

글로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올해 안에 한미일 정상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의했다.1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최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라오스 총리 주최 만찬에서 연내 한미일 정상회의를 개최하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다.일본 신임 총리 취임이나 미국 대통령 선거 변수와 관계없이 한미일 협력체계를 공고히 이어가자는 취지로 분석된다.윤 대통령은 “잘 알았다. 앞으로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연내에 만날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화답했다.

2024.10.12 09:24

1분 소요
‘고임금 저고용’ 구조 가속화…대기업, 연봉 늘고 고용 줄고

산업 일반

국내 주요 대기업 120곳의 지난해 임직원 인건비가 전년 대비 2조원 넘게 증가한 반면 고용은 5000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건비는 늘고 고용은 줄어, 임직원에게 돌아가는 1인당 평균 연봉은 6%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30일 ‘국내 주요 120개 대기업 2019년~2022년 4개년 인건비, 고용, 평균 연봉 비교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은 주요 12개 업종별 매출 TOP 10에 포함되는 총 120개 대기업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20곳 대기업의 작년 기준 임직원 숫자는 77만 2068명이다. 이는 2019년 이후로 가장 적은 숫자다. 지난 2019년 77만 9365명이던 임직원 수는 2020년에는 77만 5310명으로 1년 새 4055명(0.5%↓) 줄었다. 이듬해인 2021년에는 77만 6628명으로 전년 대비 1318명(0.2%↑) 많아졌으나, 지난해는 이전해보다 4560명(0.6%↓)이나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9년부터 2022년 사이 고용은 1년 단위로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고 있는 모양새다. 고용이 파도처럼 요동치는 것과 달리 임직원에게 지급되는 인건비 규모는 꾸준히 높아졌다. 120개 대기업에서 지급한 임직원 총 인건비는 2019년 64조 3282억원→2020년 66조 2873억원→2021년 74조 7720억원→2022년 77조 1731억원으로 지속적으로 늘었다.재작년 대비 지난해 인건비는 3.2% 수준으로 높아졌다. 금액으로 보면 인건비 지출 금액이 2조 4011억원 넘게 많아졌다. 이는 산술적으로 연봉 1억원을 2만명 이상에게 지급할 수 있는 수준의 인건비 규모다. 1년 새 인건비가 2조원 넘게 많아졌지만 실제 고용 일자리는 거꾸로 4500곳 이상 감소했다. 대기업에서 인건비가 증가하면 직원수가 많아진다는 고용 공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증명한 셈이다. 이번 조사 대상 120개 대기업 중 2021년 대비 2022년에 임직원 인건비 규모가 증가한 곳은 101곳이었다. 고용을 한 명이라도 늘린 업체는 120곳 중 80곳으로 파악됐다. 같은 기간 120곳 중 30곳은 고용이 줄었는데도 인건비는 되레 증가했다. 최근 1년 새 임직원 인건비 금액을 가장 많이 늘린 곳은 ‘현대자동차’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사의 임직원 급여 총액은 2021년 6조 8872억 원에서 지난해 7조 6487억 원으로 커졌다. 1년 새 임직원 인건비 규모가 7615억 원(11.1%↑)이나 늘었다. SK하이닉스도 지난 2021년 3조 3379억 원에서 2022년 4조 601억 원으로 1년 새 인건비가 7221억 원(21.6%↑) 증가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자동화와 기계화 시스템 도입 증가 등으로 국내 대기업에서 단순히 인건비를 늘려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식은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로 접어들었다”며 “다양한 신사업 발굴 등을 통해 기존에 없던 고용을 늘려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2023.03.30 18:14

2분 소요
11월 취업자 60만 명 늘어…60세 이상이 절반 [그래픽뉴스]

Check Report

11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60만명 이상 늘었지만 증가 폭은 반년째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올해 11월 취업자 수는 2842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2만6000명 증가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1999년(121만7000명) 이후 23년 만에 최대폭 증가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5월 93만5000명 ▶6월 84만1000명 ▶7월 82만6000명 ▶8월 80만7000명 ▶9월 70만7000명 ▶10월 67만7000명에 이어 11월까지 6개월 째 감소했다. 다만 취업자 수는 작년 3월부터 지난달까지 21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보다 늘었다. 11월 기준 전체 취업자 증가분 가운데 절반을 크게 웃도는 76.5%가 60세 이상(47만9000명)이었다. 50대(9만2000명), 30대(6만6000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으나 40대에서는 6000명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2020년 전년 동월 대비 24만3000명 감소한 뒤 지난해 16만8000명 증가했다가 2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3만1000명), 보건복지업(14만9000명), 제조업(10만1000명)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었다. 실업률은 2.3%로 전년 동기 대비 0.3%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1999년 6월 실업률 기준이 바뀐 후 11월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치다. 올해 추이를 보면 연초 4%대였던 실업률은 2%대로 낮아졌다. 1월(4.1%)부터 2월(3.4%), 3월(3.0%)까지 실업률은 하락했고, 3월부터 6월까지 실업률은 3.0%로 동일했다. 7월(2.9%), 8월 (2.1%), 9월(2.4%), 10월(2.4%), 11월(2.3%) 실업률은 2%대를 상회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증가 폭이 둔화했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모두 감소했다"며 "청년층 취업자는 인구 감소 등으로 21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으나 고용률은 올랐다"고 말했다. 김연서 기자 yonso@edaily.co.kr

2022.12.24 20:00

2분 소요
'2023 수출 전망'…전기전자1.9%↓·바이오헬스3.5%↑ [그래픽 뉴스]

Check Report

우리나라의 수출 품목 중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기전자 업종의 수출 감소폭이 내년 1.9%에 달할 전망이다. 반면 바이오헬스 업종의 수출은 3.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2023년 수출 전망 조사'의 ‘업종별 수출 증감률 전망’에 따르면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 내년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살펴보면 ▶전기전자(-1.9%) ▶석유화학·석유제품(-0.5%)은 감소하고 ▶철강(+0.2%) ▶자동차·자동차부품(+0.9%) ▶일반기계·선박(+1.7%) ▶바이오헬스(+3.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조사는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반도체·일반기계·자동차·석유화학·철강·석유제품·선박·자동차부품·디스플레이·바이오헬스·컴퓨터·이동통신기기 등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참여 기업 중 60.7%는 내년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도 39.3%에 달했다.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들은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 지속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 ▶해상·항공 물류비 상승 등 물류 애로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기업들은 수출 부진 대응 전략으로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절감 ▶채용 축소 등 고용조정 ▶투자 연기 및 축소 등을 검토 중이라고 응답했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 등을 꼽았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코로나19 위기 이후 한국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수출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는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수출물류 차질 방지 등 우리 기업의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한 환경조성에 총력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연서 기자 yonso@edaily.co.kr

2022.12.24 18:00

2분 소요
1인 가구 가장 많은 곳, 강남구 역삼동…배달 이용은 신림동 1위 [그래픽 뉴스]

산업 일반

서울시 1인 가구 수가 지난 6월 기준 153만4000가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8월 29일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서울시가 SKT, 서울시립대와 협업해 인구·가구 통계 등 공공데이터와 가명 처리한 통신데이터를 결합해 데이터를 만들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1인 가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 역삼1동으로 1만6130가구였다. 광진구 화양동(1만5049가구), 관악구 청룡동(1만2798가구)이 뒤를 이었다. 인구 대비 1인 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은 관악구 신림동(1만2258가구, 66%), 중구 을지로동(860가구, 60%), 광진구 화양동(1만5049가구, 59%) 순이었다. 나이에 따른 차이도 나타났다. 20∼30대 1인 가구는 대학가나 회사가 많은 곳에 몰렸으며 60대 이상 노년층은 강북·도봉·노원구에 주로 거주했다. 이 가운데 20대는 전체 밀집 지역과 1인 가구 밀집 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40대는 전체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양천구 신정3동)과 1인 가구 밀집 지역(강남구 역삼1동)에 차이가 있었다. 배달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관악구 신림동으로 월평균 18.4회 접속했다. 이어 강남구 논현1동(18.1회), 강남구 역삼1동(17.6회) 순이었으며 1인 가구 밀집 지역에서 빈도가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5∼34세에서 가장 많았다. 문자와 통화량 등을 토대로 유추한 '소통이 적은 1인 가구'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명동, 을지로, 회현동 등에서 인구 대비 비중이 컸으며 도심에 거주하는 중장년 이상 1인 가구의 통신 기반 커뮤니케이션이 적은 것으로 추정됐다. 평일 외출 빈도는 40∼44세를 기점으로 나이가 들수록 남성과 비교해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평일 외출 빈도가 적은 1인 가구의 비율은 관악구 대학동(5.1%)과 종로구 창신1동(4.1%), 도봉구 방학2동(4.1%)에서 높게 나타났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9.03 18:00

2분 소요
“출산율 1위는 세종, 꼴찌는 서울”…출생아 수 26만명으로 최저 [그래픽뉴스]

산업 일반

지난해 출산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도 26만명대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8월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전년보다 1만1800명(-4.3%) 감소했다.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27.5명)이 3.1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전체 연령 가운데 출산율이 가장 높은 30대 초반 여성(76.1명)도 1년 새 출산율이 2.9명 감소했다. 반면 30대 후반(1.2명), 40대 초반(0.5명) 등 35세 이상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4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은 7.6명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33.4세로 올라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또 지역별로 보면 출생아 수는 광주와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시도별 출산율은 세종(1.28명)이 가장 높았다. 전남(1.02명)도 출산율이 1명을 넘겼다. 반면 서울 출산율은 0.63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평균 출산 연령 역시 서울이 34.2세로 가장 높았으며, 첫째 아이를 낳기까지 걸리는 평균 결혼생활 기간도 서울(2.7년)이 가장 길었다. 출생아 중 첫째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63.7%)이, 반대로 셋째 이상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2.9%)가 가장 높았다. 시군구 단위로는 전국 228개 모든 시군구의 합계 출산율이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대체 출산율(2.1명)을 밑돌았다. 합계 출산율이 1명 이상인 시군구도 62개에 그쳤다. 특히 부산 중구(0.38명)는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영광군(1.87명)이었다. 평균 출산 연령은 서울 서초구가 34.7세로 높았고, 강원 화천군은 30.3세로 낮았다. 출생아 수 자체는 경기 화성시와 수원시에 가장 많았다. 이외 출생아 수 상위 10개 지역 가운데 7개 시군구가 경기 지역에 분포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27 18:00

2분 소요
“무서운 금리 상승”….20·30대 전세 위해 빌린 돈만 100조원 육박 [그래픽뉴스]

산업 일반

전세 자금 마련을 위해 20·30대가 은행에서 빌린 돈이 1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20·30대가 은행에서 빌린 전세대출 잔액은 96조3672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2조1915억원(2.3%) 늘었다. 전체 연령대 전세대출 잔액은 167조510억원 수준이었다. 20·30대의 은행 전세대출 잔액은 2019년 말 54조7381조원에서 2020년 말 76조1787억원, 2021년 94조1757억원으로 매년 급증해왔다. 가파른 전셋값 상승 여파로 20·30대로선 전세자금의 상당 부분을 빚으로 충당하지 않고서는 전세로 살 집을 구하지 못하게 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20·30대의 전세대출이 늘면서 전체 전세대출 차주 가운데 20·30대 비중도 높아졌다. 4월 말 현재 은행권 전세대출을 차주 가운데 20·30대 수는 총 81만6353명으로, 전체 차주(133만590명)의 61.1%를 차지했다. 2019년 말만 해도 20·30대 전세대출 차주의 비중이 56.5% 수준이었다. 문제는 전세대출이 대부분 변동금리 대출이다 보니 차주 입장에서 금리 상승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전세대출의 지표금리가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6월 현재 2.38%(신규취급액 기준)로 1년 전(0.92%)보다 1.46%포인트 올랐다. 한편 은행권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고 있어, 코픽스에 연동되는 전세대출 금리도 당분간 상승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한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20 18:00

1분 소요
“두나무 직원 93%, 토스 65% 증가”…국내 벤처 종사 76만명 [그래픽뉴스]

산업 일반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 벤처·스타트업 종사자는 총 76만여명으로, 1년 새 1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벤처·스타트업 3만4362곳으로, 고용 인원은 총 76만1082명으로, 1년 전 동기대비 9.7%(6만7605명) 늘었다. 이 같은 증가율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율 3.3%보다 3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의 고용 증가율은 40.5%로, 전체 기업 대비 12배 이상 높았다. 벤처 투자 10억원당 고용증가 효과는 약 2.3명으로 나타났다. 벤처·스타트업 고용 인원 중 15∼29세 이하 청년은 26.9%인 20만4437명으로 1년 전보다 8.0% 늘었고, 여성은 24만9411명으로 12.9%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신설 벤처·스타트업은 92곳으로 총 836명을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벤처·스타트업 10곳의 증가 인원은 총 4048명이었다. 기업당 평균 404.8명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벤처·스타트업 평균 고용 증가 인원인 2.0명 대비 200배가 넘었다. 이 중 1년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기업은 신선식품 배송 플랫폼인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로, 인원이 701명 증가했다. 스타트업을 제외한 벤처기업만 놓고 보면 3만4174곳에서 총 75만380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고용 인원이 9.6% 늘었다. 벤처기업 종사자는 이미 지난해 말 기준 총 72만2000명으로, 국내 4대 그룹 인원(72만명)보다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유통·서비스, 전기·기계·장비 등 3개 업종에서 총 4만2698명(64.9%)이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소재 벤처기업에서 1년간 증가한 인원이 59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번 분석 대상에 포함된 유니콘기업 14곳의 고용 인원은 1만942명으로 1년 전보다 39.4%(3092명) 늘었다. 이중 두나무 고용 인원은 총 494명으로 1년 전보다 93.0%(238명) 늘었고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749명으로 65.7%(297명) 증가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13 18:00

2분 소요
“남남이어도 괜찮아”…비(非)친족 가구원 100만명 돌파 [그래픽뉴스]

Check Report

법적 가족이 아닌 친구나 애인끼리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원이 지난해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친족 가구 수도 1년 만에 10% 넘게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8월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비친족 가구는 1년 전보다 11.6% 증가한 47만2660가구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비친족 가구는 시설 등에 집단으로 거주하는 가구를 제외한 일반 가구 가운데 친족이 아닌 남남으로 구성된 5인 이하 가구를 의미한다. 2016년(26만9444가구)까지만 해도 20만대에 그쳤던 비친족 가구는 2017년 30만8659가구로 껑충 오르더니, 2020년 42만3459가구, 지난해에는 47만2660가구까지 늘었다. 비친족 가구에 속한 가구원 수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비친족 가구원은 101만5100명으로, 통계 조사 이후 처음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2016년 58만3438명과 비교하면 5년 만에 가구원 수가 74.0% 급증한 것이다. 행정구역별로 보면 비친족 가구의 78.5%인 37만1064가구가 읍이나 면이 아닌 동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12만6003가구에 비친족 가구가 가장 많았고, 서울이 9만9555가구로 뒤를 이었다. 비친족 가구의 절반가량(47.7%)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셈이다. 새로운 형태의 가족에 걸맞은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지난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전국 만 18∼69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6명 이상(62.7%)은 가족의 범위를 사실혼, 비혼·동거까지 확대하는 데 동의한다고 답했다. 앞으로 결혼보다는 동거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 혼인·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생계·주거를 같이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는 각각 87.0%, 82.0%가 동의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07 15:00

2분 소요
“아이 키우려면 평균 월 72만원”…51% 대학졸업 때까지 지원 [그래픽뉴스]

Check Report

우리나라에서 자녀를 양육하는데 1명당 월평균 72만1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월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보고서를 통해 전국 9999가구 중에서 실제로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자녀가 있는 4055가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세부 지출항목은 어린이집·유치원 이용료, 공교육비, 사교육비, 자녀 돌봄 비용, 기타항목(의복, 장난감, 분유, 기저귀, 육아 용품비, 용돈, 의료비, 교통비, 통신비) 등이었고, 이 중에서 사교육비가 월 26만원으로 기타비용(월 34만9000원) 다음으로 많았다. 가구 특성별로는 가구의 소득과 학력이 높을수록, 농어촌보다 도시지역에 사는 경우에 자녀 1인당 양육 지출 비용이 많았다. 자녀 연령을 영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이상으로 나눠서 해당 시기 자녀가 있는 가구를 상대로 연령별 지출 비용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 영유아 자녀 지출금액은 월평균 60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초등학생 자녀 지출금액은 월 78만5000원이며, 이 중 사교육비가 월 42만7000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초등학생 사교육비 지출금액은 도시지역 월 45만5000원, 농어촌지역 월 29만5000원으로 거주지역에 따라 지출금액의 차이가 컸다. 중고생 자녀 지출금액은 월평균 91만8000원으로 상당히 높았는데, 역시 이 중에서 사교육비가 월 50만6000원으로 상당히 높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중고생 자녀 가구 사교육비는 도시지역 월 54만9000원, 농어촌 지역 월 28만원으로 거주 지역별로 격차가 컸다. 대학생 이상 자녀 지출 비용은 월평균 73만6000원이었다. 또 보호자로서 사회 통념상 자녀를 언제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51.5%가 '대학 졸업 때까지', 24.2%는 '취업 때까지'라고 답했다.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례는 13.9%에 불과했다. 이밖에 '혼인 때까지' 7.7%, '언제까지라도' 2.7%로 나왔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7.30 17:00

2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