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간 관세 협상이 답보 상태인 가운데, 한국에 대한 관세를 올려야 한다고 보는 미국인은 1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한국에 대한 관세를 내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미국인은 10명 중 3명꼴이라고 나왔다. 미국 내 여론은 한국을 여전히 중요한 무역 상대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유고브와 공동으로 미국인 1181명을 대상으로 지난 달 실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3.34%P) 결과 한국에 대한 관세를 '올려야 한다'는 응답률은 10%인 반면 '현 수준 유지'와 '내려야 한다'는 응답률은 각각 33%였다.미국의 교역국 별로 적절한 관세율은 중국이 26%로 가장 높았고, 멕시코(18%), 캐나다(15%), 유럽연합(EU·14%), 일본(12%), 한국(10%) 등의 순이었다. 이어 한미 교역량에 대해서는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26%, '현 수준 유지'가 42%, '줄여야 한다'가 9%로 나타났다. 교역량을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많은 국가로는 캐나다(38%)와 일본(33%), EU(31%), 멕시코(28%), 한국(26%), 중국(14%) 순이었다.한국의 문화가 미국에서 한국의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느냐는 질문에는 '정말 그렇다'가 20%, '약간 그렇다' 40%, '약간 그렇지 않다' 5%, '정말 그렇지 않다' 2%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한국 문화로는 음식(42%)과 영화·화장품·예술작품(각 15%), K-팝과 TV쇼(각 12%) 등의 종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