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한은 "韓 금융·외환시장 대외 충격에 취약…신흥국 평균에 못미쳐"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전 세계적으로 파장을 미치는 경제 충격이 발생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실물 경제가 더 크게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금융·외환시장 심도를 고려한 정책대응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리스크 충격시 환율‧금리 변동 파급과 정책 대응에 대해 진단했다. 김지현 한은 국제국 국제금융연구팀 과장과 김민 과장이 공동 작성했다.
17개국(8개 선진국과 한국 포함 9개 변동환율제 신흥국)을 대상으로 글로벌 리스크 충격에 대한 국가별 반응 계수를 2004년부터 2024년까지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2.11%p)가 신흥국 평균(1.68%p)보다 높았다.
글로벌 리스크 충격을 반영한 지표로는 글로벌 위험회피 지수가, 금융·외환시장의 반응 지표로는 UIP(유위험 금리평형)프리미엄이 사용됐다. UIP프리미엄은 국내 경제주체가 대외 차입 시 글로벌 투자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추가 비용으로, 일반적으로 대외 충격을 받으면 자국 통화 가치가 떨어지고 시장금리는 올라 UIP프리미엄이 커진다.
이번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글로벌 리스크 충격을 받을 때 다른 신흥국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UIP가 확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 금융·외환시장의 깊이(심도·depth)가 얕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금융·외환시장의 심도가 얕은 국가는 글로벌 리스크 충격 시 실물 부문도 더 크게 위축된다”고 했다. “대외 충격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려면 금융·외환시장의 심도 개선이 중요하다”며 “현재 추진되는 외환시장 구조개선 방안과 2026년 예정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이 심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슈퍼 태풍 '라가사' 북상에…中 400만명 대피 계획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마켓인
키아누 리브스, ♥8살 연하와 극비 결혼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전·SK하닉 넘어섰다”…한달새 70% 뛴 반도체 장비株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중복상장·복잡한 지배구조…에식스솔루션즈 연내 상장심사 '빨간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알테오젠 ‘키트루다SC’ FDA 허가...할로자임 특허소송 파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