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거래 시차 두고 대출 반영…5월도 증가 가능성
은행 수신 25.9조원 줄어…수시입출식예금 빠져 나가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4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50조1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조8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3월 증가 규모 1조6000억원과 비교하면 한 달 새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3조7000억원 늘어 913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월 2조5000억원에서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담대가 늘어난 것은 지난 2월 토허제 해제 이후 늘어난 주택거래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가계대출에 반영된 영향이다.
주택 거래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5월 증가세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월 6200건, 3월 9300건이다.
4월 은행 기업대출도 큰 폭으로 증가 전환했다. 지난달 말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1338조7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14조4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3월 2조1000억원 감소한 것과 대조된다.
대기업대출은 6조7000억원 증가했다. 배당금 지급과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상환한 자금을 재취급하는 등 계절적 운전자금 수요와 일부 은행이 정책성 시설자금대출을 취급하면서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은 부가세 납부 관련 자금 수요와 미국 관세정책 관련 금융지원 등으로 7조6000억원 늘었다.
직접 금융을 통한 회사 자금조달을 보면 회사채는 시장금리 하락과 견조한 투자수요 등으로 순발행 규모가 증가했다. 3월 4000억원 증가에서, 4월에는 1조9000억원으로 규모가 확대됐다. 기업어음(CP)·단기사채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상환분이 재발행되고, 일부 기업의 운전자금 수요 등으로 전월 말 대비 4조6000억원 증가했다.
4월 은행 수신은 전월 말 대비 25조9000억원 줄었다. 3월 12조3000억원 증가에서 한 달 만에 큰 폭으로 감소 전환했다. 수신이 줄어든 것은 수시입출식예금이 4월 36조8000억원 빠져나간 영향이 크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부가세 납부와 배당금 지급을 위해 기업자금이 유출되고, 지자체의 재정집행자금이 인출되면서 크게 줄었다.
정기예금은 3월 12조6000억원 감소에서 한 달 만에 증가 전환했다. 다만 대출 확대에 따른 은행들의 예금유치 노력에도 배당금 지급 등에 따른 기업예금 감소로 5000억원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자산운용사 수신은 전월 말 대비 38조5000억원 증가했다. 3월 13조1000억원 감소에서 한 달 만에 큰 폭으로 증가 전환했다. 이는 머니마켓펀드(MMF)가 24조1000억원 늘어난 영향이다. MMF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됐던 자금이 4월 재유입되면서 법인자금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다. 채권형펀드와 주식형펀드도 각각 7조4000억원, 3조5000억원 늘며 전달 대비 유입폭이 확대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500년도 부족"…숨진 훈련병 어머니, 항소심서 엄벌 호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엘롯한 동맹' 야구 레전드들이 골프장서 뭉쳤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미 ‘환율협상’ 본격화…원화절상 압박 현실화하나(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 주가 띄운 S-PASS 원천기술, 5년 전 이미 “진보성 없다” 결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