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폐업했는데도 신고하나요?”…종소세 신고 마감 D-7, 자주 묻는 질문 보니
- 쌤157, 종소세 관련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직장인이어도 신고 대상일 수 있어"

세금신고 AI 앱 ‘쌤157’은 종소세 신고를 앞두고 직장인·프리랜서·자영업자 등이 자주 묻는 질문을 Q&A 형식으로 정리해 공개했다. 직장인이라도 근로 외 수입이 있다면 종소세 신고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프리랜서 수입,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이 연 2000만원을 초과한 경우, 복수의 회사에서 소득을 받은 경우, 기타소득이 300만원을 초과한 경우 등이다.
신고 대상 여부는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의 ‘신고도움서비스’에서 확인 가능하다. 부업을 하는 직장인들이 가장 민감하게 여기는 질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종소세를 신고해도 회사는 해당 사실을 알 수 없다. 회사는 연말정산을 위한 근로소득 자료만 접근할 수 있으며, 개인의 다른 소득 내역은 열람할 수 없다.
다만 부업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이 인상될 수 있어 이 과정에서 회사 측에 알려질 가능성은 있다.
퇴사 후 재취업한 경우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전 직장의 소득을 현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통해 합산 신고했다면 별도 신고는 필요 없지만, 누락된 경우에는 5월 종소세 신고를 통해 정산해야 한다.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수익을 올린 경우에도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다. 단순한 개인 물품 처분은 과세 대상이 아니지만, 중고품을 대량 매입해 재판매하거나 반복적으로 수익을 올린 경우는 과세 대상이다. 국세청은 지난해 중고 거래로 연 평균 4343만원의 매출을 올린 개인 525명을 포착해 종소세 신고 안내문을 발송했다.
전년도에 폐업한 경우에도 종소세 신고는 해야 한다. 부가가치세는 폐업 직후에 신고하지만, 종소세는 다음 해 5월에 신고하기 때문이다. 신고를 누락하면 무신고 가산세(20%)와 지연 가산세(일 0.022%)가 부과될 수 있다. 폐업일 이전까지의 매출과 비용을 정확하게 정산해 신고해야 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미-EU 관세 유예 소식에 환호한 월가…국채금리도 '뚝'[월스트리트in]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유로파 챔피언’ 손흥민, 청재킷 입고 韓 금의환향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서울 시내버스 노조, 파업 미뤄…버스 정상운행(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일진그룹, 미래 먹거리 수소사업 빨간불…가동률 30%대로 추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뷰노 대표 "에이아이트릭스의 특허무효심판, 핵심 특허는 모두 기각…소송 리스크 없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