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인천공항 미어 터지는데 왜?…"면세점 재입찰땐 임대료 40% 하락"

인천국제공항 내 신라·신세계 면세점 임대료를 재입찰에 부치면 임대료 수준이 현재보다 약 40% 낮아진다는 감정 결과가 나왔다. 중국인의 소비 패턴 변화, 온라인 면세점 비중 확대 등으로 현 임대료 수준으로는 손실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신라·신세계면세점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륙아주는 삼일회계법인이 면세점 재입찰 시 형성될 임대료 수준을 에상한 감정서를 보내왔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신라·신세계면세점은 지난 4∼5월 각각 인천지방법원에 인천공항공사를 상대로 1·2 여객터미널 면세점 중 화장품·향수·주류·담배 매장 임대료를 40% 내려달라는 내용의 조정을 신청했다. 이에 법원은 삼일회계에 임대료 수준을 측정해달라는 감정촉탁을 했다.
객단가가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출국객 수 증가 추이를 고려하면 쟁점이 된 면세구역의 매출은 연평균 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임대료를 고려하면 손실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가령 DF1(신라면세점) 구역의 내년 매출은 7132억원, 임대료 차감 전 영업이익은 1978억원이지만 임대료 3173억원을 차감하면 119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인천공항 면세점의 패션·액세서리·명품 등 매출은 2019년 수준을 회복한 뒤 성장세를 보이지만 화장품·향수와 주류·담배 매출은 2019년 대비 53%와 65% 수준에 머물고 있다.
매출 감소 원인으로는 중국인 소비패턴이 실속, 체험형으로 바뀐 영향이 꼽혔다.
한국인이 출국할 때 온라인 면세점에서 구매하는 매출 비중 증가도 인천공항 내 화장품·향수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3년 온라인 면세주류 판매 허용 역시 주류 매출 채널을 분산시켜 인천공항 면세점의 주류 매출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건희에 5400만원 바쉐론콘스탄틴 전달" 특검 진술 확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규한, '♥솔비'에 "결혼 생각 있냐" 돌직구 고백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변 없었다…조국·정경심·윤미향 '광복절 특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빌려줘도, 증자해줘도 문제"…여천NCC 지원방식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일라이 릴리 vs 노보 노디스크, 먹는 비만약 전초전서 노보 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