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글로벌 HR 플랫폼 딜, AI와 인력구조 변화 연구결과 발표…글로벌 기업 66% “신입 채용을 줄일 것”
- 전 세계 22개국 글로벌 임원 5,500여 명 대상 설문 조사 실시…“한국 AI 인재에게 고액 연봉 지급 의향 가장 높아”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글로벌 HR 플랫폼 딜(Deel)이 시장조사 기관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 의뢰해 진행한 연구 ‘AI at Work: 글로벌 인력 시장에서 AI의 역할’ 결과, 전 세계 기업들이 AI를 중심으로 인력 구조를 빠르게 재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포함한 22개국 의 비즈니스 리더 5,50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3곳 중 2곳(66%)이 향후 3년 동안 초급 인력 채용을 줄일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10곳 중 9곳(91%)은 직무 변화 또는 대체가 이미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한국 역시 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으며, 응답자의 61%가 향후 3년 동안 초급 인력 채용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고, 93%는 이미 직무 변화 또는 대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
차세대 리더를 육성하는 기반이 되어온 ‘학습형 일자리’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으며, 심화되는 역량 격차는 기업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AI 도입으로 인해 직무가 “크게 변화했거나 완전히 재편되었다”고 답한 비율은 한국에서 43%로, 홍콩(48%)과 인도(43%)에 이어 상위권을 기록했다.
또 전 세계 기업의 67%는 이미 AI 관련 사내 교육 및 리스킬링(reskilling) 프로그램에 투자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AI 시대에 선제적으로 인재 개발과 직무 재설계를 추진하는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99%가 이미 AI를 도입했으며, 약 70%는 파일럿 단계를 넘어 전면적인 통합을 완료했다. 특히 신입·초급 인력인 주니어(Entry-level) 직군’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인 66%는 신입 채용을 줄일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AI가 단순·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면서 실제로 주니어 직군의 역할이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I가 반복적 업무와 지식 기반 업무를 대체하면서 기업들은 인재 육성과 리더십 파이프라인 구축에 점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체 기업의 71%는 초급 단계의 학습 경로가 사라지면서 차세대 리더 육성이 더 어려워졌다고 답했으며, 69%는 초급 직원의 온더잡(on-the-job) 학습 기회가 줄어들었다고 응답했다. 한국에서는 72%가 차세대 리더 육성의 어려움을, 70%가 주니어 직군의 학습 기회 감소 느낀다고 응답했다.
전 세계 기업의 67%가 AI 교육 프로그램에 투자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는 핵심 장애물을 조사했다. 응답한 기업은 ▲직원 참여 부족(57%) ▲예산 제약(51%) ▲전문 강사 부족(45%) 순으로 주요 장애물로 꼽았다. 한국에서도 65%의 기업이 직원 재교육에 힘쓰고 있지만, 이 중 59%는 이를 방해하는 가장 큰 장애 요소로 전문 강사 부족을 지적했다.
AI 재교육의 책임 주체는 한국을 포함한 많은 글로벌 기업에서 여전히 불명확하다. 전사적인 협업 조직을 구축해 이를 조율하는 기업은 단 1%에 불과했으며, 23%는 누가 책임자인지조차 모른다고 밝혔다.
AI 확산으로 전통적인 학위의 중요성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현재 한국 기업 중 대학 학위를 필수 요건으로 보는 곳은 5%에 불과하며, 초급 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는 ▲AI 도구 및 코딩 부트캠프 자격증(65%) ▲문제 해결 및 비판적 사고 능력(55%) ▲인턴십과 같은 실무 경험(55%) 등으로 나타났다.
AI 활용 역량이 핵심 채용 기준으로 떠오르면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기업의 절반 이상(66%)은 보다 구체적인 기술 역량을 기준으로 인재를 채용한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이제 “즉시 기여할 수 있는 기술 기반 인재”를 선호하며, 학위보다 지속적인 학습 능력과 기술 적응력을 중시하는 새로운 기준을 세워가고 있다.
기업들은 AI 도입을 가속화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 기업의 47%는 AI 도입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AI 인재 부족’을 꼽았으며, 그다음으로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난이도(46%)를 지적했다.
채용 과정에서 어려움도 비슷하게 조사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에서 65%가 채용 과정에서 ‘AI 인식 부족’과 ‘인재 부족’을 주요 문제로 꼽았으며, 한국 역시 AI 전문 인력 부족(71%)을 가장 큰 장애물로 지적했다. 이는 많은 조직이 아직 제대로 된 AI 인재 전략 및 거버넌스를 확립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AI 인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AI 전문가에 대한 급여 프리미엄도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전 세계 기업의 절반은 AI 전문가에게 25~100% 높은 급여를 지급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4분의 1(25%)은 AI 전문가를 유치하기 위해 50% 이상 높은 연봉을 제공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조사 대상 22개국 중 가장 높은 비율로, 그다음은 ▲인도(22%) ▲뉴질랜드(21%) ▲호주(20%)가 뒤를 이었다.
이번 연구는 AI 거버넌스 분야에서도 나라마다의 격차를 분석했다. 전 세계적으로 자국 AI 규제를 “잘 알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16%, 규제가 명확하고 비즈니스 친화적이라고 평가한 기업은 24%로 나타났다. 중국은 자국 AI 규제를 잘 모른다고 답한 비율이 5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인도(53%)와 독일(53%)이 이었다. 한국에서는 절반인 50%가 국내 AI 규제를 잘 모르고 있으며, 명확하고 비즈니스 친화적이라고 평가한 비율은 21%에 불과했다.
IDC 아시아태평양 AI 담당 부사장 크리스 마셜(Chris Marshall) 박사는 “AI는 인류가 경험한 그 어떤 기술보다 빠르게 노동시장을 재구성하고 있다”며 “성공적인 기업은 자동화와 인간 중심의 비전을 결합해 리스킬링과 리더십 육성을 함께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딜 글로벌 정책 총괄 닉 카티노(Nick Catino)는 “이번 연구 결과는 AI가 일하는 방식과 비즈니스 운영 전반을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초급 직무의 성격과 기업이 요구하는 역량 모두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이제 근로자와 기업 모두가 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만배와 돈거래' 언론사 회장 2심도 유죄…벌금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BTS 진·백종원 주류 유통사, 검찰 송치...무슨 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제조업이 무너진다"…철강·석화 '심장부' 유령도시 위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주 동의 만료 D-40…이지스운용 인수전 결국 '시간싸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죽는 줄 알았던 큐렉소…매출 지도 뒤집고 역전 드라마에 복수까지 '성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