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치킨집보단 '이곳' 뜬다…창업 생존률 90% 정체는
- 국세청, 5년간 '100대 업종 통계자료'
3년 생존율, 2023년 기준 53.8% 집계

지난 29일 국세청은 '최근 5년간 100대 생활업종 통계 분석자료'를 국세통계포털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위 자료에 따르면 100대 생활업종의 1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77.9%로 집계됐다. 2019년에서 2022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3년에 다소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3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53.8%로 나타났다. 2020년에 창업한 사업자 중 2023년까지 계속 사업한 자의 비율을 뜻한다. 이어 5년 생존율은 39.6%였다.
즉, 창업하고 3년 뒤 살아남은 사업자는 절반가량이며 5년 후에는 10명 중 4명만이 사업을 지속하는 셈이다.살아남은 사업자는 절반가량이며 5년 후에는 10명 중 4명만이 사업을 지속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100대 생활업종 가운데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창업 관심업종 20개를 분석해보면 2023년 기준 1년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으로 알려졌다.
통신판매업(69.8%), 화장품 가게(74.2%), 식료품 가게(77.3%)는 생존율이 낮았다.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 폐업한 것이다.
3년 생존율 역시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에서 높았으며 교습학원(70.1%)도 70%를 웃돌았다.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53.8%)보다 크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년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46.8%) 순으로 집계됐다.
3년 생존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에서 높았으며, 40∼60세와 60세 이상은 펜션·게스트하우스에서 각각 73.8%, 76.3%로 가장 높았다.
생존율이 낮은 업종으로는 40세 미만에서는 분식점(41.9%)이, 40∼60세와 60세 이상은 호프주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국 정치 충격적 전개"…대선 앞두고 외신도 '깜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홈런왕' 최정이 복귀포 알렸다..그런데 걱정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결전의 날’ 김문수vs 한동훈 누가 국민의힘 최종 후보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마이너스 손’ 앵커PE, 로시안 투자도 성과 없이 종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 월간 맥짚기]기업가치 평가 시험대 열렸다...주인공 누가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